📖 STS,,/🖥️ JavaScript 12

switch문 + if문

파일 생성1. js12.html 파일을 만든다.2. js12.js 파일을 만든다.3. js12.html에서 js12.js 파일을 불러온다.-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 해당 글을 참고한다. switch ()switch () 괄호 안에는 부등호가 들어갈 수 없고, 변수 선언도 할 수 없다.var n = 1;switch(n){}var n;switch(n = 8){} 위 두 코드는 가능하지만,아래 두 코드처럼 괄호 안에 부등호를 넣거나 변수를 선언하면 안 된다.switch(var n = 8){}var n;switch(n  선택문 + 조건문var n = 3;var msg = "";switch(n){ case 1: case 2: case 3: case 4: case 5: // 1차 검토 확인 if(n % 2 ..

switch ~ case

파일 생성1. js11.html 파일을 만든다.2. js11.js 파일을 만든다.3. js11.html에서 js11.js 파일을 불러온다.-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 해당 글을 참고한다. switch ~ case문switch ~ case문은 var level = 3; // 숫자 typeswitch(level){ case 1: console.log("일반회원"); break; case 2: console.log("실버회원"); break; case 3: console.log("골드회원"); break; case 4: console.log("VIP회원"); break; default: // else console.log("비회원"); break;} 위 코드에 나온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. 1. d..

복합 반복문 + 조건문

파일 생성1. js10.html 파일을 만든다.2. js10.js 파일을 만든다.3. js10.html에서 js10.js 파일을 불러온다.-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 해당 글을 참고한다. 복합 반복문 + 조건문복합 반복문은 여러가지 반복문을 같이 사용하는 반복문을 말한다. [ for ~ while문과 if문을 사용하여 짝수 단만 출력하는 코드 ]var a; // for문 변수for(a = 2; a  응용 문제Q1. 구구단 2 ~ 8단까지 중 4단, 7단, 8단만 출력하시오. (단, 반복문은 do~while문 + for문을 이용하여 작성합니다.) A1.var c = 2;var d;do{ for(d = 1; d  Q2. 사용자가 2개의 숫자를 입력합니다. 2개의 숫자 범위에 해당되는 구구단을 출력시키시..

복합 더블 반복문

파일 생성1. js9.html 파일을 만든다.2. js9.js 파일을 만든다.3. js9.html 파일에서 js9.js 파일을 불러온다.-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 해당 글을 참고한다. 복합 더블 반복문복합 더블 반복문은var a; // for문에 사용하는 변수for(a = 2; a  위 코드에 나온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. 아래 코드는 해당 결과를 다른 방법으로 출력하는 코드이다. 응용 문제Q1. 반복문 do~while문, while문을 이용하여 코드를 작성합니다. 결과에 대한 사항은 다음과 같습니다.2*2=4 3*2=6 3*3=9 4*2=8 4*3=12 4*4=16 5*2=10 5*3=15 5*4=20 5*5=25 A1.var e = 2;do{ var f = 2; while(f  Q2. 반복문은 ..

더블 반복문 - do ~ while문

파일 생성1. js8.html 파일을 만든다.2. js8.js 파일을 만든다.3. js8.html 파일에서 js8.js 파일을 불러온다.-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 해당 글을 참고한다. 더블 반복문 - do ~ while더블 반복문은var a = 1; // 큰 반복문 시작값do{ var aa = 1; // 작은 반복문 시작값 do{ console.log(a + aa); // 연산에 대한 결과를 출력 aa++; } while(aa  위 코드에 나온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. 작은 반복문의 변수를 큰 반복문 안에서 선언을 해야 더블 반복문이 제대로 작동한다.- 작은 반복문의 변수 값을 어디에 배치하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. while문과 do-while문은 더블 반복문에 사용할 때 작은 반복문에..

더블 반복문 - while문

파일 생성1. js7.html 파일을 만든다.2. js7.js 파일을 만든다.3. js7.html 파일에서 js7.js 파일을 불러온다.-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 해당 글을 참고한다. 더블 반복문 - while더블 반복문은var a = 2; // 큰 반복문 시작값while(a  위 코드에 나온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. 작은 반복문의 변수를 큰 반복문 안에서 선언을 해야 더블 반복문이 제대로 작동한다.- 작은 반복문의 변수 값을 어디에 배치하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. while문과 do-while문은 더블 반복문에 사용할 때 작은 반복문에 대한 변수 선언을 큰 반복문 안에 적용해야만 정상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. 응용 문제Q. 다음 결과처럼 출력되는 더블 반복문 코드를 작성하시오. (while ..

더블 반복문 - for문

파일 생성1. js6.html 파일을 만든다.2. js6.js 파일을 만든다.3. js6.html 파일에서 js6.js 파일을 불러온다.-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 해당 글을 참고한다. 더블 반복문 - for더블 반복문은for(f = 1; f  위 코드에 나온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. [ 구구단 2단 ~ 9단 출력하는 코드 ]var k, kk;for(k = 2; k  응용 문제Q. 더블 반복문만 이용하여 다음 결과가 되도록 출력하시오.4 → 3 + 15 → 3 + 26 → 3 + 33 → 2 + 14 → 2 + 25 → 2 + 32 → 1 + 13 → 1 + 24 → 1 + 3 A.var i, j;for(i = 3; i > 0; i--){ // 3 ~ 1역순으로 반복 for(j = 1; j  더블반복..

반복문 - do ~ while문

파일 생성1. js5.html 파일을 만든다.2. js5.js 파일을 만든다.3. js5.html 파일에서 js5.js 파일을 불러온다.-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 해당 글을 참고한다.  do~while문do~while문은var a = 1; // 시작값do{ // do시작 console.log(a); // 출력 a++; // 증가, 감소} while(a  위 코드에 나온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. 아래 코드는 내림차순으로 출력하는 코드이다. var b = 10;do{ console.log(b); b--;} while(b > 0); [ 1~60까지 역순으로 짝수 출력하는 코드 ]var c = 60;do{ if(c % 2 == 0){ // 나머지 값이 0으로 적용 되었을 경우 (짝수) console.lo..

반복문 - while문

파일 생성1. js4.html 파일을 만든다.2. js4.js 파일을 만든다.3. js4.html에서 js4.js 파일을 불러온다.-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 해당 글을 참고한다. while문while문은 var a = 1; // 시작값while(a  위 코드에 나온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.while문 안에 증가 또는 감소를 적지 않을 경우 loop에 빠진다. 아래 코드는 내림차순으로 출력하는 코드이다.var b = 10;while(b > 0){ console.log(b); b--;}  [ 구구단을 출력하는 코드 ]var c = 1;while(c  while문 + 조건문while문 안에 조건문을 써서 반복문을 만들 수 있다. 1~10까지 숫자 중 홀수만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 보면,var d = 1;..

반복문 - for문

파일 생성1. js3.html 파일을 만든다.2. js3.js 파일을 만든다.3. js3.html에서 js3.js 파일을 불러온다.- 파일을 만드는 방법을 모른다면 해당 글을 참고한다. 증감 연산자1. ++++는 1을 증가시킨다.var a = 10;console.log(a);a++;console.log(a); 2. ----은 1을 감소시킨다.var b = 10;b--;console.log(b); 2씩 증가하고 싶다고d+2;이렇게 쓰면 없는 코드로 안 되고, d += 2; 또는 d = d + 2;로 작성해야 한다. 3. ++ 위치에 따른 차이++d처럼 ++가 변수 앞에 있으면 우선 값을 출력하고 더한다.- 출력 후 1 증가d++처럼 ++가 변수 뒤에 있으면 우선 더하고 값을 출력한다.- 1 증가 후 출력v..